1전시실

거북선 그림(龜船圖)

거북선 그림
  • 조선 후기
  • 61.0 × 38.6

    충무공 종가에 전해 내려오는 두 장의 거북선 그림이다.
    오른쪽 그림 위에는 거북선의 크기와 구조를 시로 표현한 글이 있는데 매영(梅營, 전라좌수영)에서 만든 것이라고 되어 있다.
    왼쪽 그림에는 덮개 위에 장대(將臺)를 설치하고 머리와 꼬리가 표범 모양인 것이 이채롭다.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의 구조를 엿볼 수 있는 기록은 이순신이 2차 해전에 대한 승첩 장계를 올릴 때 묘사한 것과 조카 이분이 쓴 이순신의 《행록》에 나와 있는 신묘년(1591년) 기사 두 가지이다.

이 기록들을 통해 우리는 거북선의 대체적인 구조를 알 수 있다.
크기는 판옥선만하며 배 위에 판재로 뚜껑을 만들어 덮어씌웠고, 뚜껑에는 십자형 좁은 길을 내고 그 나머지에는 적들이 뛰어 오르지 못하도록 칼이나 송곳을 꽂았다.
이렇게 해서 안에서는 밖이 보이지만 밖에서는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다. 또 배의 앞(이물)은 용머리를, 뒤(고물)는 거북이 꼬리모양이다.

총통 구멍은 이물과 고물에 하나씩 그리고 좌우 뱃전에 각각 6개씩 해서 모두 14개가 있다.
그러나 내부 구조라든가 각 부재의 치수 등은 알 수 없어 구체적인 모습을 알아내기에는 부족하다.
이로부터 200년이 지난 1795년(정조 19)에 간행된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龜船圖說)에는 두 가지 거북선 그림과 함께 각 부재의 치수가 상세히 나와 있어, 우리는 비로소 거북선의 구조에 좀 더 구체적으로 다가설 수 있다.

그런데 694자에 이르는 이 그림 설명은 우리 전통 목선을 만드는 순서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보았을 때는 무슨 말인지 알아보기가 힘들다.
그리고 이 그림과 설명도 선체의 각 부위에 대한 치수를 적어 놓은 것일 뿐 내부 구조를 알 수 있는 내용이 없다는 점에서 거북선의 완전한 모습을 그려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전통 목선의 구조와 만드는 순서를 알고 읽어 나가다보면 머릿속에서 거북선의 대략적인 외부 구조를 머릿속으로 떠올려볼 수 있을 것이다.

페이지 만족도 조사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 확인